1. 한국서양사학회 정기총회[2017년 12월 1일(금)~12월 2일(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서울캠퍼스)] -제53대 신임회장 선출: 육영수
2. 연구발표회 및 학술대회 [국정 이후의 역사교육 정책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긴급 심포지엄] "국정교과서 논란이후의 역사교육을 말한다." 참여(2017년 2월 16일(목) 오후 2시,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관지헌) 2017 한국서양사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대회-역사 속 민주주의 위기와 대안 모색[2017년 5월 26일(금)~5월 27일(토), 서울여성플라자 회의실] 주최: 한국서양사학회, 5.18기념재단 주관: 한국서양사학회 창립60주년기념 학술대회 조직위원회 후원: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정보 패널토론(김원수, 김택현, 최혜영, 손세호): <서양사 연구와 한국 사회: 회고와 전망Ⅰ> 패널토론(권형진, 김남섭, 설혜심, 이용재, 장문석, 차용구): <서양사 연구와 한국 사회: 회고와 전망Ⅱ> 문종현, <식민지 보수주의-19세기말 알제리 반유대주의 폭동을 중심으로-> 박상철, <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우익들-분열과 논거 약화-> 이찬행, <“트럼프 민주당원”의 탄생-2016년 미국 대선과 백인 노동계급-> 박윤덕, <프랑스혁명기 수동시민과 민주주의> 박찬영, <영국 산업혁명기 러다이트운동과 민주주의> 박구병, <라틴아메리카의 사회경제적 위기와 포퓰리즘의 출현> 정대성, <민주주의 위기를 넘어-독일68의 구심점 APO의 ‘위대한 거부-> 박우룡, <세기전환기 반자본주의 운동과 신사회운동의 딜레마-탈물질주의와 문화주의 이론의 한계와 참여민주주의의 변질-> 최자영, <아렌트와 소렐의 폭력론 비판-대안으로서의 고대 그리스 시민사회-> 최영태, <5.18광주항쟁의 성격과 세계사적 위상>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 학술대회-종교개혁의 시대적 의미[2017년 10월 14일, 한성대학교 상상관 12층 컨퍼런스홀] 주최: 한국서양사학회, 한국서양중세사학회
Ulrich Duchrow, <현대사회에서 종교개혁의 의미> 박준철, <중세와 근대의 교차로에서 종교개혁의 시대적 의미> 김선영, <16세기 프로테스탄트 개혁가 마르틴 루터와 양심> 오종현, <‘루터파’ 선전과 예수의 전유-시각 이미지를 중심으로-> 박효근, <칼뱅 종교개혁과 민중규율화의 실체> 제60회 전국역사학대회-역사전환기 이상과 현실 참가[2017년 10월 28일(토), 고려대 운초우선교육관 302호 주최: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 주관: 한국사연구회 후원: 한국연구재단, 국사편찬위원회, BK21+ 고려대학교 한국사학미래인재양성사업단 서양사학회 분과발표 주제-서양역사전환기의 이상과 현실 고경주, <타키투스의 저술 속에 나타난 공화정에서 제정으로의 이행> 황원호, <전환기의 비잔티움 제국 경제체제의 쇄신과 통합-11-12세기 황실직영지의 확대를 중심으로> 임동현, <“유럽의식의 위기”와 비코의 로마사 서술> 하성호, <앨버트 갤러틴과 제퍼슨 민주주의> 정대성, <독일 68운동의 상징, 루디 두취케-이상을 품고 현실 속으로-> 러시아 혁명 100주년 기념 전국서양사연합학술대회-러시아혁명 100주년 유산과 평가, 그리고 한국적 이해[2017년 12월 1일(금)~12월 2일(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서울캠퍼스)] 박상철, <러시아 혁명과 자유주의자> 류한수, <러시아 혁명과 작업장 민주주의> 노경덕,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의 민주주의 외교관> 기계형, <러시아혁명과 여성> 라승도, <러시아혁명과 영화-레닌의 시각 이미지-> 이지연, <샤갈-말레비치-혁명> 신영전, <러시아 혁명과 Nikolai A. Semaschko의 소련 보건의료 체제> 박태성, <러시아 혁명과 교육시스템의 변화> 장한닢, <성 소수자를 통해 본 러시아 혁명> 구범모, <러시아 혁명기 시베리아 지역주의자 G.N. 포타닌>
3. 학보간행 <서양사론> 제132호(2017년 3월) 제133호(2017년 6월) 제134호(2017년 9월) 제135호(2017년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