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기 총회 [2007년 6월 2일(토) / 서강대학교 마테오관 104호] 1) 업무보고
2) 결산 및 감사보고 3) 회칙개정 ① 지적 소유권 개정 관련 ② 윤리 규정 첨부 4) 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사업회 보고
2. 연구발표회 및 학술대회
제184회 학술연구발표회 [2007년 3월 17일(토) / 부산대학교 인덕관]
주제: 르네상스 깊이보기 곽차섭, <파노르미타의 <헤르마프로디투스>와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딜레마> 설혜심, <르네상스 휴머니즘과 역사서술: 16세기 영국> 이종흡, <르네상스 인문학과 인문정신> 제185회 학술연구발표회(한국과학사학회 한국서양사학회 공동 연구발표) [2007년 4월 21일(토) / 청주대학교]
주제: 서양사 속의 과학과 기술 성영곤, <과학혁명의 역사: 개념의 기원과 전개> 송성수, <산업혁명기의 기술혁신에 미친 과학의 영향> 이종찬, <열대의 생물학이 서구적 근대의 형성에 미친 영향> 이명환, <30년 전쟁기(1618~1648) 군사과학기술과 전쟁술: 구스타브스 아돌프스의 전쟁을 중심으로> 송상용, <서양사와 과학사: 과학혁명의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제186회 학술연구발표회(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 서양사부 발표) [2007년 6월 2일(토) / 서강대학교 마테오관]
홍석민, <영국 전국 실업자 운동(NUWM)의 실(失): 1932년 ‘생계비테스트의 위기’와 1935년 ‘UAB의 위기’를 중심으로> 고유경, <'청년 신화'의 두 얼굴: 바이마르 시기 사민당의 청년 담론에 나타난 세대 갈등을 중심으로> 문수현, <덴마크와 독일의 국경문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류한수, <최근 영미권의 신군사사(new military history) 연구 동향과 국내 서양사학계의 군사사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언> 이혜민, <중세 말 봉건영주의 역사인식과 역사문화: 『역사의 거울』파리샹티이 수서본 속 채식화를 중심으로> 제187회 학술연구발표회 [2007년 9월 15일(토) / 전북대학교 인문1호관]
정기문, <로마제국의 성공 이유에 대한 로마인의 인식> 이경구, <신성로마제국의 성격> 이영석, <19세기 대영제국의 사회적 성격> 이주천, <대영제국의 해체를 통한 미국의 제국화> 제188회 학술연구발표회 및 학회창립 50주년 기념식 [2007년 12월 21일(금) /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제1부 초청 강연 차하순, <역사 설명의 이원적 구조> 제2부 학회창립 50주년 기념식 • 인사말씀: 조승래, 김영한 • 역대회장 및 원로 축사 • 주제발표: 류한수, 박진빈 외 여러분, <또 다른 반세기를 향하여: 서양사학회를 위한 제안과 요청> • 학회창립50주년 기념행사 결산보고: 최갑수 제3부 제2회 서양사학회 우수논문상 시상 • 심사보고: 조한욱 • 우수논문상 심사위원: 박상익, 박근갑, 김봉철, 김응종, 조한욱 • 축사 및 시상: 최선홍 • 수상소감: 고유경 한국서양사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2007년 7월 5일(목) ~ 6일(금)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소천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무궁화홀]
주제: 동아시아에서의 서양사연구: 근대성의 인식과 유럽중심주의의 극복 김영한, <한국의 서양사연구 평가와 전망> 마 커야오, <중국의 서양사연구 평가와 전망> 니시카와 마사오, <일본의 서양사연구 평가와 전망> 가오 이, <중국의 서양사연구와 근대성의 이해> 곤도 가즈히코, <일본의 서양사연구와 근대성의 이해> 최갑수, <한국의 서양사연구와 근대성의 이해> 미나미즈카 신구, <일본의 서양사연구와 유럽 중심주의의 극복> 박용희, <한국의 서양사연구와 유럽 중심주의의 극복> 가오 다이, <중국의 서양사연구와 유럽 중심주의의 극복> 한국서양사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2007년 10월 13일(토) ~ 14일(일) / 서울 유스호스텔(남산) 세미나실]
주제: 한국 서양사연구 60년: 회고 반성 전망 총론 발표: 이태숙 / 고대사 발표: 김덕수 / 중세사 발표: 강일휴 / 역사이론 발표: 김기봉 / 독일사 발표: 이진모 / 프랑스사 발표: 이영림 / 영국사 발표: 이영석 / 미국사 발표: 황혜성 / 러시아사 발표: 한정숙
3. 학보간행
제92호
김봉철, <디오뉘소스 신화와 디오뉘시아 제식의 연관성 -고전기 아테네의 안테스테리아를 중심으로-> 박준철, <종교개혁의 수용과 거부 -16세기 독일 민중의 종교문화-> 성백용, <마르크 블로크가 바라본 중세의 영국과 프랑스> 박근갑, <사회민주주의와 자치행정 -개념사로 다시 읽는 비스마르크 복지정치-> 김상수, <20세기 초 영국 보수당내 급진파와 사회주의의 연관성에 대한 재고 -정치적 담론으로서의 사회주의-> 신행선, <프랑스 비시(Vichy) 정부 시기 가족정책과 여성> 이용우, <프랑스의 대독협력자 숙청에 대한 여론과 기억, 1944-2004> 이용일, <이민과 다문화 사회로의 도전 -독일의 이민자 사회통합과 한국적 합의-> 차하순, <새로운 세계사의 조건> 김원수, <글로벌 히스토리(Global History)와 역사들의 지평을 넘어서> 조지형, <지구사란 무엇인가?> 강철구, <한국에서 서양사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유럽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제언-> 제93호
박홍식,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곽차섭, <파로느미타의 『헤르마프로디투스』와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딜레마> 설혜심, <르네상스 휴머니즘과 역사서술 -16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조지형, <도망노예법과 미국연방사법체제의 위기 -부스 사건(1859)을 중심으로-> 박재영, <역사적 스테레오 타입 사례연구 -구한말 독일인 의사 분쉬(R. Wunsch)의 조선 이미지-> 고원, <마르크 블로크의 비교사> 고유경, <세대의 역사, 그 가능성과 과제> 황혜성, <다채로워진 미국 이민사 연구 -“용광로”에서 탈 소수민족의식으로-> 정희라, <“자유방임 이민국”에서 “제로(Zero) 이민국”으로 -영국 이민사 개관 및 연구동향-> 박단, <프랑스 공화국과 무슬림 이민자 -개관 및 연구동향-> 이용일, <파편적, 일국사적 이민연구에서 통합적, 초국가적 이민연구로 -독일 이민사 연구노트-> 제94호
양희영, <프랑스 혁명기 캐리커처에 나타난 혁명과 반혁명의 이미지, 1789-1792> 전수연, <“프랑스인들의 왕” 루이필립의 누보 레짐 -혁명이 산출한 군주제의 고뇌-> 서이자, <인상주의 미술과 풍자화가 그린 “위험한 계급” -19세기말 파리 노동자의 이미지 형성-> 민유기, <아르누보와 문화 민주주의 -파리 서민주거개혁에 미친 아르누보 건축의 영향력-> 조호연, <20세기 초 러시아의 정치적 프리메이슨단의 문제> 홍석민, <영국 전국실업자운동의 이상과 현실 -“생계비테스트의 위기(1932)”와 “실업부조 위원회의 위기(1935)”를 중심으로-> 성영곤, <과학혁명의 역사: 개념의 기원과 전개> 송성수, <산업혁명기의 기술혁신에 미친 과학의 영향> 이명환, <근대 초 유럽의 군사혁명론> 류은하, <파리 교외 지역 연구> 제95호
김영한, <한국에서의 서양사 연구: 경향과 평가> 최갑수, <한국에서의 서양사 연구: 한국의 서양사학과 근대성의 인식> 박용희, <한국에서의 서양사 연구: 한국의 서양사 연구와 유럽중심주의 극복> 오흥식, <한국에서의 서양사 연구: 유럽중심주의 극복과 사료로서의 그리스 신화> 이태숙,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총설 -한국서양사학의 범위-> 김덕수,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서양고대사 연구 60년 -고대 지중해세계에서 오리엔트까지-> 강일휴,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서양중세사 연구 반세기 -근대 전사(前史)에서 탈피-> 김기봉,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역사이론/사학사 연구 50년 -한국 서양사학의 반성을 위한 메타역사-> 이진모,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한국현대사 속의 독일사 연구 50년 -비판적 성찰-> 이영림,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프랑스사 연구 50년 -근대화의 이해에서 문화적 다양성으로-> 이영석,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영국사 연구 반세기 -“근대의 전범”으로서의 역사?-> 황혜성,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미국사 연구 50년 -“여전히 알아야 하는 나라”, 미국-> 한정숙,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경원과 부정을 넘어 상호이해로 -한국 서양사학계의 러시아-동유럽사 연구에 대한 성찰과 제언 -> 김원중,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에스파냐, 라틴아메리카사 연구의 터 닦기> 남종국,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이탈리아사, 지중해사 연구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육영수, <서양사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 씌어 지지 않는 역사 혹은 닦지 않은 거울 -북한의 서양사연구 반세기, 1955년-200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