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기총회 1) 임원개선
회장(33대) 및 임원단 유임 2) 회칙개정
1989년 4월 제3차 회칙 개정. 영문명 개정(The Korean Society for Western History)및 일반회원자격 확대(석사학위 소지자), 종신회원 규정(20년분 회비 납부자)등 결의. 1989년 32회 역사학대회 서양사학회 주관으로 개최(1989년 5월 26일-27일). 제1조 명 칭
본회는 한국서양학회(The Korean Western Historical Assosciation)라고 칭한다. 제2조 목적과 사업 서양사 각부문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르는 회지를 발간하고 연구발표회 및 기타 필요한 사업을 한다. 제3조 회 원 본회의 회원은 본회의 목적에 찬동하고 소정의 회비를 납부한 사람으로서 한다. 기관이나 단체도 회원이 될 수 있다. 회원에는 일반회원과 학생회원을 둔다. 일반회원은 석사학위 소지자 및 이에 준하는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서 한다. 20년분의 회비를 납부한 사람은 종신회원이 된다. 단, 기관이나 단체의 경우, 종신회원의 유효기간은 20년이다. 제4조 임 원 본회에는 회장 1명과 간사 약간명을 둔다. 임원의 임기는 1년이며 1년에 한하여 재임할 수 있다. 임원의 선출은 총회에서 한다. 임원은 학회지의 편집위원을 겸하며 총회의 결의에 따라 본회의 사업을 수행한다.회장은 필요한 경우 지방간사 및 특별간사를 위촉할 수 있다. 제5조 총회 정기총회는 매년 5월중에, 임시총회는 필요가 있을 때에 회장이 이를 소집한다. 총회는 주요사업을 결의하며 총회의 의장은 회장이 된다. 총회는 출석한 일반회원으로 성립되며, 그 과반수 이상으로 의결한다. 제6조 회 계 본회의 재정은 회비와 찬조금 및 기타수입으로 충당한다. 일반회원과 학생회원의 회비는 차등을 둔다. 회장은 매년 정기총회에서 결산보고를 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며 총회는 재정감사를 위하여 약간의 감사를 위촉할 수 있다. 부 칙 본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준한다. 본 개정회칙은 1989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2. 연구발표회
제88회 연구발표회: 1989년 3월 18일 한국학술진흥재단 황혜성, < Booker T. Washington과 W.E.B. Du Bois의 개인적 관계와 인종정책, 1895∼1915> 배영수, <미국남성피복노조의 대두> 정성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을 위한 한국, 미국, 일본의 외교정책, 1945∼1953> 제89회 연구발표회: 1989년 4월 22일 한국학술진흥재단
이세희, <프랑스혁명기의 파리민중협회 연구> 이형의, <헤로도토스의 사상에 나타나는 양면성과 역사정신의 형성> 제90회 연구발표회: 1989년 5월 27일 서강대학교
나종일, <영국혁명에 대한 한 시각> 황해봉, <사상혁명으로서의 미국독립혁명: 고전공화주의혁명인가, 근대자유주의혁명인가> 최갑수, <1830년의 7월혁명: '잊혀졌던 혁명'의 재발견?> 이민호, <분단국가와 역사인식의 이질화: 독일 3월혁명의 해석을 중심으로> 이인호, <볼세비키 혁명과 역사해석의 문제> 제32회 전국역사학대회: 1989년 5월26일-27일 서강대학교
노명식, <혁명의 개념> 민석홍, <프랑스혁명: 부르조아혁명인가, 민중혁명인가> 민두기, <신해혁명론> 정창렬, <동학운동: 반란인가, 혁명인가> 제91회 연구발표회: 1989년 10월 21일 한국학술진흥재단
김희준, <플라톤의 역사철학 고찰> 나인호, <독일 사회민주주의 노동운동과 고용창출계획, 1929∼1932> 제92회 연구발표회: 1989년 12월 2일 한국학술진흥재단
손영호, <재미 한국이민의 민족의식> 권희영, <소련에서의 국제주의와 민족문제>
3. 학보간행
제32호 김민제, <영국 헨리 8세 초기의회의 이상과 이권절충> 황혜성, < Booker T. Washington과 W.E.B Du Bois의 개인관계와 인종정책, 1895∼1915> 강옥초, < A.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의 형성과 발전> 최재현, <마르크스주의와 봉건주의> 제33호
노명숙, <혁명의 개념> 민석홍, <프랑스혁명: 부르조아혁명인가, 민중혁명인가> 민석홍, <프랑스혁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세희, <프랑스혁명과 파리민중협회(1790∼1795) 나종일, <영국혁명에 대한 한 시각> 황해붕, <미국독립혁명의 사상적 성격> 최갑수, <1830년의 7월혁명: '잊혀졌던' 혁명의 발견?> 이민호, <1848년의 독일혁명> 이인호, <러시아혁명과 역사해석의 문제>
|